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airflow
- HackerRank
- 그룹바이
- 자연어처리
- CASE
- 짝수
- t분포
- sigmoid
- 표준편차
- 논문리뷰
- Window Function
- inner join
- nlp논문
- 자연어 논문
- 카이제곱분포
- sql
- MySQL
- 자연어 논문 리뷰
- Statistics
- 설명의무
- torch
- 코딩테스트
- GRU
- 서브쿼리
- SQL 날짜 데이터
- NLP
- leetcode
- update
- LSTM
- SQL코테
- Today
- Total
HAZEL
[투자자산운용사 : CH 3. 직무 윤리 및 법규 / 투자운용 및 전략 1] 제 4장 ~ 제 5장(한국금융투자협회 규정 / 주식투자운용 및 투자전략 ) 본문
[투자자산운용사 : CH 3. 직무 윤리 및 법규 / 투자운용 및 전략 1] 제 4장 ~ 제 5장(한국금융투자협회 규정 / 주식투자운용 및 투자전략 )
Rmsid01 2020. 11. 9. 18:02** 본 게시글은 투자자산운용사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것의 일부분
교재 : 해커스 투자자산 운용사 최종 핵심 정리 문제집
# 제 3과목 : 직무 윤리 및 법규 / 투자운용 및 전략 1
제4장: 한국금융투자협회 규정
01. 투자권유의 적합성 확보 및 설명의무
1) 적합성 확보
- 투자자 정보 확인 : 고객이 일반투자자인지 전문투자자인지 확인하여야 함
- 투자자 정보 확인방법
- 투자권유의 적합성
- 파생상품 등에 대한 일반투자자 보호장치
i. 적합성 원칙에 더하여 적정성 원칙을 준수하도록 함
ii. 파생상품 등에 대해서는 투자권유대행 위탁을 불허함
2) 설명의무
- 설명서 ( 투자 설명서 )
- 핵심 설명서 ; 주식워런트 증권( ELW) 및 상장지수 증권은 제외
: 공모의 방법으로 발행된 파생결합 증권 매매, 신용융자거래, 유사해외통화선물거래를 하고자 하는 경우 핵심설명서를 추가로 교부하고 그 내용을 충분히 설명해야 함
02. 설명의무
1) 파생결합증권 손실 요건의 통보
i. 일반투자자에게 만기전에 알려야 하는 사항
- 원금손실조건에 해당되는 사실
- 조기상환조건 및 조기 상환 시 예상 수익률
- 환매청구방법, 기한 및 수수료 등
ii. 고지방법 : 일반 투자자가 미리 정한 방법
iii. 통보대상 상품 : 공모로 발행되는 파생결합증권
2) 주식워런트증권(ELW) 거래 시 투자자 보호 강화
- 별도 거래 신청서 작성
- 사전 교육 실시 : 협회가 인정하는 교육을 사전에 이수하여야 함
3) 장내파생상품시장 적격 개인투자자 제도
- 사전지식 및 투자경험 여부 / 위험 감수능력 여부 ( 기본예탁금 예탁 )
03. 위험고지
1) 일중매매거래
- 같은 날 동일 종목의 금융투자상품을 매수한 후 매도하거나, 매도한 후 매수하여 일중 가격 등락의 차액을 얻을 목적으로 행하는 매매거래.
- 해당 금융 투자 상품 : 장내파생상품, 주식, 주식워런트 증권
2) 시스템매매
- 전산소프트웨어에 의하여 금융투자상품을 매매하는 방법
- 시스템 매매가 수익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내용
- 시스템 매매로 커다란 소실을 입을 수 있다는 내용
제5장 : 주식투자운용 및 투자전략
01. 자산운용과정
1) 자산운용과정
- 자산운용은 계획 -> 실행 -> 평가 ; 3단께의 의사결정 체계
- 투자 상황의 파악과 전략 수립 -> 장기전망 -> 투자집행 및 모니터링 -> 사후평가 및 피드백
2) 주식투자의 중요성
- 이전에는 액티브 운용 -> 1980년대부터 패시브 운용이 주를 이룸
- 국내채권과 국내 주식의 상관계수가 0 임분산투자 효과 있음
- 액티브 운용 : 마켓타이밍, 테마선택, 종목 선택 전략이 있음
- 패시브 운용 : 벤치마크를 추종하여 그 정도의 수익률을 얻으려는 전략
02. 자산배분전략의 정의 및 준비사항
1) 자산배분전략
- 정의 : 위험수준이 다양한 자산집단을 대상으로 투자자금을 배분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과정
- 거시적 관점의 장기투자(전략적 자산배분)와 미시적 관점의 중/단기 투자(전술적 자산배분)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
- 중요성 : 단기적인 주가 예측보다 장기적인 자산배분과 같은 거시적 활동을 중요시함
2) 투자활동별수익률
3) 시사점
- 자산배분활동을 변화시키지 않는 상태에서3 사분면의 수익률이 가장 높았으며, 2, 4분면은분면은 1 사분면의 수익률보다 낮음
- 전략적 자산배분이 전체 수익률의 90% 이상을 차지함. 증권선택 활동이나 시장 예측활동이 수익률을 설명하는 정도는 10% 미만이라는 것을 의미함
- 따라서 적극적 자산배분활동이나 종목 선택활동보다는 전략적 자산구성을 잘 수립하는 것이 중요함
03. 자산배분전략의 변화
1) 자산배분전략의 변화
- 최근 운용 전략 : 투자목적에 부합하는 자산구성 비율을 사전에 결정, 벤치마크 수익률을 상회하는 운용을 지향, 펀드매니저별로 내세우는 특정분야에 대한 스타일 투자 적용
- 과거 운용 전략 : 목표수익률 달성을 추구함, 펀드매니저 권한이 강함
- 스타일 투자 : 스타일 투자를 통해 펀드매니저의 전문 분야를 알 수 있음
2) 과거와 최근 자산배분전략 비교
구분 |
최근의 변화 |
기존의 자산배분전략 |
투자 목표 |
(스타일) 인덱스 초과수익률 |
목표수익률 |
투자전략 |
적극적인 인덱스 투자전략 |
적극적 자산배분 전략 |
펀드매니저 권한 |
정해진 스타일 내에서만 투자 |
목표수익률 달성을 위한 모든 권한 |
자산배분 |
펀드 밖에서 이루어짐 (장기적) |
펀드 내에서 이루어짐 (단기적) |
장점 |
자산배분 권한 투자자에게 있음 저성과에 대한 책임이 명확 |
고성과 달성 가능 |
단점 |
장기적 투자방법이므로 단기 투자자금에 부적합 |
투자자가 위험에 대한 사전적 통제력이 낮음 |
'STUDY > 투자자산운용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투자자산운용사 : CH 3. 직무 윤리 및 법규 / 투자운용 및 전략 1] 제 1장 ~ 제 3장( 직무 윤리 /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/ 금융위원회 규정 ) (0) | 2020.11.07 |
---|